티스토리 뷰
목차

2025 청년도약계좌 조건|소득·재산 기준
청년도약계좌 2025 신청이 다가오면서 많은 청년들이 ‘나는 가입할 수 있을까?’라는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.
정부가 최대 5천만 원까지 자산형성을 지원해주는 제도인 만큼, 자격조건은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가입 가능한 연령, 소득 요건, 재산 기준, 가입 제한사항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.
👉 아래 기준을 확인하시고 조건이 맞는다면, 2편: 2025 청년도약계좌 정부지원금 수령액 계산하기 글도 꼭 확인해보세요!
청년도약계좌란?
근로·사업소득이 있는 청년이 5년간 꾸준히 저축하면, 정부가 소득 수준에 따라 최대 연 240만 원의 장려금과 최대 3.6%의 이자를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.
최대 수령 가능 금액은 원금+장려금+이자 포함 5천만 원 이상입니다.
나이 기준
✔️만 19세 이상 ~ 만 34세 이하 청년
✔️ 단, 병역 이행자의 경우 복무 기간만큼 연령 상한 연장 가능 (예: 만 36세까지)
소득 기준
[개인소득]
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,500만원 이하이며,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,300만원 이하인 경우 (단, 육아휴직급여(육아휴직수당), 군 장병급여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)
※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
[가구소득]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에 해당하는 자
※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
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, 부모, 자녀, 형제·자매(미성년자)를 기준으로 판단
2025년 예상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:
1인 가구 | 62,336,760원 |
2인 가구 | 103,684,650원 |
3인 가구 | 133,044,480원 |
4인 가구 | 162,028,920원 |
5인 가구 | 189,920,640원 |
6인 가구 | 216,839,430원 |
7인 가구 | 243,225,450원 |
👉 가구소득이 애매하다면, 복지로 소득조회 바로가기
재산 기준
✔️ 가구 재산이 3억 8천만 원 이하
✔️ 주택, 차량, 예금, 보험 등 포함
👉 내 재산도 포함되는지 모르겠다면,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의 재산 조회 서비스 이용



신청 제외 대상
✔️ 현재 청년희망적금 가입자
✔️ 희망저축계좌Ⅱ 등 유사 자산형성 지원사업 중복 참여자
✔️ 금융채무불이행자(연체자) 또는 최근 5년 내 파산·회생 이력자

그 외 주의할 점
✔️ 단기 아르바이트만 해도 월 50만 원 이상 근로소득이 있으면 신청 가능
✔️ 가족 중 1명만 신청 가능 (같은 주소지에 둘 이상 신청 시 조건 안 맞을 수 있음)
✔️ 소득·재산 기준은 심사 시점 기준
청년도약계좌는 단순한 적금이 아니라 정부가 함께 저축해주는 제도입니다.
자격만 된다면 꼭 가입해서 자산 형성의 발판을 만들어보세요.
👉 조건이 맞는다면, 2편: 2025 청년도약계좌 정부지원금 수령액 계산하기 글도 꼭 읽어보세요!





